2021년 11월 28일 일요일

TWRP 리커버리에서 파일 플래싱할 때 ERROR 7 해결 방법

이 ERROR: 7 에러 코드가 어떤 단 하나의 이유로만 나오는 것 같지는 않아서 해결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내가 해결한 방법이고 내 상황에만 맞는 방법일 수도 있으나 아마 그래도 많은 경우에 이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을까 한다. 또한  TWRP 리커버리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오렌지폭스(OrangeFox) 리커버리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플래싱하려는 파일(롬 파일이든 무슨 패치 파일이든)이 오류가 없는 정상적인 파일이라면 플래싱이 잘 되어야 하는데 어떤 이유로 내장 메모리의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정상적인 파일을 플래싱하는데도 이 ERROR: 7 에러가 나올 수 있다.

내가 직접 경험한 ERROR: 7 에러 화면은 이미 해결이 되어 버려서 참고할 이미지를 그냥 구글에서 찾아서 올렸고 문제의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다.

Wipe → Advanced Wipe

Data, Internal Storage 체크 → Repair or Change File System →

Swipe to Repair →

(TWRP) 리커버리로 다시 리부팅한 다음에 원하는 파일을 플래싱하면 잘 될 것이다. 끝.

2021년 11월 24일 수요일

원드라이브(OneDrive) 남은 용량 확인하는 방법

아! 이거 찾느라 정말 힘들었다.

원드라이브의 용량 관리 페이지 이름이 ‘저장소 메트릭(Storage Metrics)’이기 때문에 원드라이브 첫 페이지에 들어가서 URL의 맨 끝 부분만 저장소 메트릭으로 고치면 되고 storage metrics의 영어 앞 몇 글자를 합친 글자라는 공식으로 외우고 있었는데, stormet, stomet, stormetric, stormetrics 이리저리 넣어 봐도 아래와 같이 오류 페이지가 뜨며 안 되는 것이다.

더군다나 원드라이브가 용량 확인하는 이 저장소 메트릭 메뉴를 도대체 어디에다가 숨겨 놓은 건지 이것저것 꾹꾹 눌러 봐도 찾을 수도 없었다. 예전엔 그래도 숨겨 놓긴 했어도 메뉴를 찾아 들어갈 수는 있었는데 내 생각에 아예 없앤 것 같기도 하다. 비즈니스용 원드라이브 기준이고 개인용 원드라이브는 또 찾기 쉬운지 모르겠다.

아무튼 찾고 나면 아무 것도 아닌 일. 찾아냈다. storman이었다! storage manager인가? 한글 이름은 저장소 메트릭인데 이상하다.

원드라이브의 전체 용량과 남은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원드라이브 기본 주소(/onedrive.aspx)를

/storman.aspx로 바꾸면 된다. 끝.

윈도 탐색기의 원드라이브(OneDrive) 폴더 이름 변경하는 방법 (제거 방법 포함)

나는 원드라이브를 비즈니스 계정으로 쓰는데 PC용 원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기본으로 폴더 이름이 ‘OneDrive - 조직 이름’으로 정해진다.

일단 폴더 이름에 긴 것도 맘에 안 들고, 공백(띄어쓰기)이 들어가는 것도 그렇고 조직 이름이 한글이라면 폴더 이름에 한글이 들어가는 것도 별로 좋을 것이 없다.

그래서 폴더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regedit)를 실행하고 찾기(Ctrl+F3)로 ‘04271989’로 찾으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컴퓨터\HKEY_CURRENT_USER\SOFTWARE\Classes\CLSID\{04271989-xxxx}


‘기본값’을 더블클릭한 다음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TestDrive’라는 이름으로 변경하고 윈도 탐색기를 다시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원드라이브 폴더 이름이 바뀌어 있다.

그런데 위에 그림에서 보면 TestDrive 폴더 위에(또는 아래에) OneDrive 폴더도 있다. 둘 다 같은 위치(원드라이브 공유 폴더)를 가리키는 것인데 두 개나 있을 필요가 없다. 더군다나 내가 원하는 이름으로 바꾼 TestDrive를 클릭하면 탐색기의 오른쪽에 바로 파일 목록이 열리는데, OneDrive를 클릭하면 똑같이 파일 목록이 열리지만 ‘새 창’으로 열리기 때문에 맘에 안 든다. 그러면 이 OneDrive 바로가기는 지우고 TestDrive 바로가기만 남겨 둬야지.

다시 레지스트리 편집기(regedit)에서 아래 경로로 간다.

컴퓨터\HKEY_CURRENT_USER\SOFTWARE\Classes\CLSID\{018D5C66-4533-4307-9B53-224DE2ED1FE6}

여기서 아래와 같이 System.IsPinnedToNameSpaceTree 항목을 더블클릭해서 1로 되어 있던 원래의 값을 0으로 변경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OneDrive 바로가기는 사라지고 TestDrive 바로가기만 남아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