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브 모바일, 리브 엠 모바일, 리브 엠, Livv M에서 데이터쉐어링 하는 방법을 적어 보자. 우선 데이터쉐어링이 아니라 데이터셰어링이 맞다고 하는데, 대부분은 데이터쉐어링, 데쉐라고 할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쉐어링이라고도 적기로 한다.
스마트폰 쓰면서 데이터셰어링을 처음 해 보는 것인데 이 리브 모바일의 데이터쉐어링은 꽤나 번거롭기 때문에 정리할 겸, 그리고 리브 엠 모바일에서는 유심 장착이 가능한 태블릿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데 스마트폰에서도 데이터셰어링을 성공했기 때문에 작성하는 글이다.
내가 쓰는 요금제는 LTE 든든 무제한 11GB+이고 Flex LTE 요금제에서도 데이터쉐어링이 가능한 것 같고, 또 무슨 요금제가 가능한지 다 알지는 못한다.
일단 스마트폰에서 리브 모바일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스마트폰의 확정기변을 신청한다. 마이페이지 → 확정기변
나는 샤오미 폰을 쓰고 있고, 외산폰은 OM-PHONE을 고르면 된다고 고객센터 상담사가 그랬다. OM-PHONE은 검색어로 ‘phone’을 넣고 나온 검색 결과 중에 맨 끝에 있다.
그 다음 리브 모바일 홈페이지에서 데이터쉐어링 회선 개통 신청을 한다. 부가서비스 → 데이터 쉐어링
나는 2년간 150GB를 추가로 제공해 주는 프로모션으로 LTE 든든 무제한 11GB+ 요금제를 가입하기 위해 국민은행에 방문해서 유심을 미리 받아 왔었다(무료임). 유심을 여러 개 주셔서 이 유심으로 스마트폰도 개통했고 지금 이 데이터 셰어링 유심도 개통하는 것이다. 만약 유심을 미리 받지 못했다면 위 그림에서 ‘유심 수령 방법’을 다른 것을 골라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입 추천 직원은 아래와 같이 없는 것으로 고르고 ‘개통 신청’을 골라서 원하는 번호를 찾아서 정한 다음 데이터 셰어링 유심 개통을 완료한다.
그리고 KB국민은행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Liiv M 확정기변/번호변경 신청서.pdf 파일을 받아서 프린터로 출력하고 내용을 작성한다. 서식/약관/설명서 → 기타 → 전체보기 → 2페이지 → Liiv M 확정기변/번호변경 신청서
저기를 찾아가기 힘들 수 있으므로 스크린샷을 첨부한다. 아니면 그냥 별것도 아니지만 구글 드라이브에 파일을 올렸으니 여기에서 받아도 된다.
신청서에서는 아래와 같이 노랗게 표시된 부분을 입력해야 하고 여기서 나는 모델명은 집에 있는 실제 태블릿의 모델명을 입력했지만 나머지 일련번호나 IMEI, Wi-Fi MAC 주소는 내가 데이터셰어링 유심을 넣고 사용할 스마트폰의 정보를 입력했다. 태블릿의 정보가 아니라 스마트폰의 정보를 입력했다는 말이다.
작성해서 스캔 이미지 파일로 만든 다음에,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7자리를 가린 신분증 이미지 파일과 함께 팩스(02-2073-7569)로 보낸다. 이메일로 보낼 수는 없다. 팩스로 보내야 하고 신분증을 잊지 말고 꼭 같이 보내야 한다. 보낸 다음에 고객센터에 전화(1522-9999)를 걸어서 데이터쉐어링 서류를 팩스로 보냈다고 하면 담당자가 확인하고 나에게 전화를 줄 것이라고 한다.
얼마 후에 1522-9999로 전화가 올 것이고 상담사가 데이터 쉐어링 처리가 완료되었다면서 전화를 끊지 말고 스마트폰으로 리브 모바일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마무리를 하라고 할 것이다. 부가서비스 → 데이터 쉐어링
메뉴에 들어가서 화면에 나오는 대로 예(다음), 예(확인), 예 그렇게 진행하면 완료 화면이 나올 것이고, 그러자마자 상담사가 처리가 끝났다고 알려준다. 그러면 전화를 끊고 데이터 셰어링 유심을 스마트폰에 끼우고 사용하면 된다.
이렇게 스마트폰에서 데이터 쉐어링을 쓰다가 유심을 빼서 태블릿에 꽂으면 태블릿에서도 될지 안 될지는 아직 해보지 않아서 모르겠다. 태블릿은 아무래도 집에서만 쓰다 보니 와이파이로 쓰면 충분할 것 같아서 스마트폰으로 데이터 셰어링을 하게 되었다. 듣기로는 스마트폰은 국내에 정식 발매되지 않은 것만 된다던데 집에 있는 포코폰 F1 두 대 모두 성공했는데 이 포코폰이 정발인지 아닌지 까먹어서 모르겠다. 내부 용량이 64GB짜리인 걸 봐서 정발일 수도 있는데 정확하게는 모르겠다.
0 comments: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