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 24일 수요일

에버노트(Evernote)를 대체할 메모 앱 조플린(Joplin)

나는 메모를 전부 다 구글 킵(google keep)에다가 하고 있기는 한데, 한때 에버노트(Evernote)를 아르헨티나 VPN으로 어쩌고 해서 아주 저렴한 금액에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글을 보고 따라해서 한 1~2년째 에버노트를 쓰고 있다.

쓰고 있다고 보긴 어렵고 에버노트는 웹 클리핑(박제) 용도로 어떤 정보라든지 하는 글을 그대로 따서 복사해 놓는 용도로만 쓰고, 실제 메모는 구글 킵(google keep)에만 하기 때문에 그냥 아주 싼 가격이라 그냥 돈 얼마 버리는 셈치고 놔둔 것이라고 봐야 한다.

근데 요새 에버노트가 해킹되었다는 말이 많아서 나도 확인해 보니까 나도 해킹된 것 같다. (샤오미 Mi5로 접속했다는데 내가 샤오미 폰을 쓰긴 쓰지만 미5는 없다.) 해킹이라고 해 봐야 나한테 가져갈 것도 없다. 하지만 어차피 쓰지도 않던 에버노트, 이참에 해지해 버리기로 한다.



내가 구글 킵(google keep)을 주로 사용한 이유는 나는 아주 짧은 메모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한 문장이나 몇 단어 수준.. 그래서 에버노트 해지하고 그냥 평소대로 구글 킵(google keep)만 쓰면 되긴 되는데, 에버노트의 대안이라고 거론되는 원노트(OneNote), 심플노트(SimpleNote), 노션(Notion) 등 다 나도 깔아보긴 했는데 어차피 짧은 메모 위주인 나는 호기심에 깔아보거나 가입만 해 본 것일 뿐..

그래서 이번에 또 대안이라고 나온 조플린(Joplin)도 설치해 봤다. 나는 이런 복잡한 메모를 할 일이 없지만 메모가 중요한 사람들에겐 좋은 프로그램인 것 같다. 마크다운 이런 거 난 모르지만.. 또 에버노트처럼 웹 클리핑도 되는 것 같다. 어차피 나한텐 에버노트는 오로지 웹 클리핑 용도뿐이었고.



또 하나의 장점은 로컬 컴퓨터뿐 아니라 드롭박스(Dropbox)나 원드라이브(OneDrive) 등에 동기화해서 자료를 보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내 출신 대학교 덕분에 원드라이브 5TB 용량이 있어서 이걸 뭐 어떻게든 활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원드라이브 지원해 주는 건 좋다. 어쨌든 글 제목에는 대체한다고 했지만 실제로 대체할지 아닐지는 쓰는 사람 나름이고 나는 일단 설치만 해 놓는 걸로.

아참, 기존에 에버노트에 메모를 많이 해 놓았더라도 이 조플린(Joplin)이 에버노트 자료를 그대로 다 이전할 수 있다고 한다.

2020년 6월 22일 월요일

윈도 10 설치하고 나서 해 주는 설정값 모음

윈도 10을 설치하고 나서 바로 설정해 주는 몇 가지 설정값을 정리한다.

물론 마우스 속도나 가속도 설정, 키보드 커서 재입력 시간 설정, 사용자 계정 설정 등 윈도 XP 때부터 하던 것들도 똑같이 하고 있지만 윈도 10에서부터 하기 시작한 것들을 적어 본다.


시작버튼 옆 돋보기 버튼 누르고 ‘클립보드 설정’ 치고 엔터. 클립보드 기록이 활성화된다.




배달 최적화’ 치고 엔터.



작업 기록’ 치고 엔터.



시작 설정’ 치고 엔터.



진단 및 피드백 설정’ 치고 엔터. 좀 스크롤 내려야 한다.



프록시 설정 변경’ 치고 엔터.



개인 정보’ 치고 엔터.



선택적 기능 관리’ 치고 엔터.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 삭제.


2020년 6월 18일 목요일

윈도 10 파일 탐색기에서 ‘3D 개체’ 폴더 제거하기

어디에 쓰는지 모르는 ‘3D 개체’라는 폴더. 삭제하는 것이 낫다.



구글에서 검색해서 방법을 찾아냈다.


regedit로 직접 하는 방법과 reg 파일을 마우스 우클릭으로 병합하는 방법 둘 다 있는데 regedit로 하는 방법이 복잡해 보이니 reg 파일을 병합하는 방법을 선택.

아래 첨부한 압축파일은 제거(remove) 파일과 복원(restore) 파일 둘 다 있으니 파일명을 잘 보고 선택하여 마우스 우클릭으로 병합하면 된다.


2020년 6월 16일 화요일

아마존 Fire HD 10 2017 툴박스로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 (광고 제거, 런처 변경, 잡 어플 삭제, 뒤로가기 버튼 순서 변경)

루팅을 하거나 리니지롬을 설치하기에는 조금 어려워 보이고 무서워서 간단하면서 최소의 작업으로 그나마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아래에 적어 본다. 또 리니지롬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루팅만 한다면 아래에 적은 것보다 더 큰 이득을 볼 것도 없어 보인다.

2020년 6월 14일 일요일

헌옷 싹 처분했다

지난번 책 정리에 이어 이번엔 옷장 정리.

뱃살이 나오면서 예전 옷이 맞지도 않고 어차피 매년 계절마다 입는 옷만 몇 벌 반복해서 입는데 옷장, 행거 정리할 겸 싹 정리했다.

헌옷 수거하는 업체가 있다기에 방문 수거를 요청했고 kg당 100원을 보상금으로 주더라. 총 85kg 처분하고 8,500원 받았다. 그냥 분리수거 쓰레기장에 힘들게 갖다 버리는 것보다는 낫다.

수거해서 동남아나 아프리카로 보낸다는데 요새 코로나 19 때문에 집에 많이들 있으니 나처럼 집 정리를 많이 하는지 수거 요청이 많아서 바쁘다고 한다.


오피스 365 특정 원하는 프로그램만 설치하기

오피스 365에서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만 설치하는 방법.

대학교 계정으로 오피스 365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데 기본으로 설치하면 필요없는 프로그램들도 많이 설치된다. 원노트, 원드라이브, 아웃룩, 팀즈, Access 등. 원드라이브를 쓰긴 쓰지만 RaiDrive라는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연결해서 쓰기 때문에 오피스 365에 포함된 원드라이브는 필요 없다.

우선 구글에서 "office 365 deployment tool"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 제일 처음 사이트 들어가서 아래에 빨간 버튼 Download를 누르면 어떤 실행파일을 받을 수 있다.

이 실행파일을 실행하면 압축이 풀리면서 파일 4개가 생성된다. 파일 4개의 구성은 setup.exe와 확장자가 xml인 3개의 파일.

configuration-Office365-x64.xml
configuration-Office365-x86.xml
configuration-Office2019Enterprise.xml
setup.exe

파일명에서 알 수 있듯이 위의 두 파일은 오피스 365용 설정 파일이고 그 다음 파일은 오피스 2019 Enterprise 버전용 설정 파일이다.

64비트용 오피스 365를 사용할 것이라면 첫 번째 파일인 configuration-Office365-x64.xml를 메모장 등으로 편집하면 되는데 어떻게 편집하냐면,

<Configuration>
  <Add OfficeClientEdition="64" Channel="Monthly">
    <Product ID="O365ProPlusRetail">
      <Language ID="en-us" />
    </Product>
    <Product ID="VisioProRetail">
      <Language ID="en-us" />
    </Product>
  </Add>
  <!--  <Updates Enabled="TRUE" Channel="Monthly" /> -->
  <!--  <Display Level="None" AcceptEULA="TRUE" />  -->
  <!--  <Property Name="AUTOACTIVATE" Value="1" />  -->
</Configuration>

위의 부분을 아래와 같이 바꿔 주고 xml 파일을 저장한다.

<Configuration>
  <Add OfficeClientEdition="64" Channel="Monthly">
    <Product ID="O365ProPlusRetail">
      <Language ID="ko-kr" />
   <ExcludeApp ID="Access" />
   <ExcludeApp ID="InfoPath" />
          <ExcludeApp ID="Groove" />
          <ExcludeApp ID="Lync" />
          <ExcludeApp ID="OneDrive" />
   <ExcludeApp ID="SharePointDesigner" />
          <ExcludeApp ID="OneNote" />
   <ExcludeApp ID="Project" />
   <ExcludeApp ID="Visio" />
          <ExcludeApp ID="Publisher" />
   <ExcludeApp ID="VisioProRetail" />
   <ExcludeApp ID="Teams" />
   <ExcludeApp ID="Outlook" />
    </Product>
  </Add>
  <!--  <Updates Enabled="TRUE" Channel="Monthly" /> -->
  <!--  <Display Level="None" AcceptEULA="TRUE" />  -->
  <!--  <Property Name="AUTOACTIVATE" Value="1" />  -->
</Configuration>

ExcludeApp이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설치하지 않을 프로그램을 적는 것이다. 원노트는 설치하고 싶다면 <ExcludeApp ID="OneNote" /> 이 부분은 빼면 된다. 저 위에 적은 대로 하면 오직 엑셀, 워드, 파워포인트만 설치된다.

그 다음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다음 위의 파일들이 있는 폴더로 가서 아래의 명령어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로 실행해 준다. 이 명령어는 오피스 365 파일을 내 컴퓨터로 다운로드 하는 것이라, 컴퓨터 성능에 따라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다. 혹시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반응이 없어 보여도 기다려야 한다.

setup.exe /download configuration-Office365-x64.xml

다 되면 아래 명령어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로 실행한다.

setup.exe /configure configuration-Office365-x64.xml

그러면 아래와 같이 엑셀, 워드, 파워포인트만 설치될 것이다.


morelocale 2 adb 명령어

adb shell pm grant jp.co.c_lis.ccl.morelocale android.permission.CHANGE_CONFIGURATION
이것도 막상 필요할 때 되면 다 마우스 우클릭 막아 놔서 복사해서 써먹기 힘들다. 

2020년 6월 11일 목요일

구글 블로그에 첨부한 이미지 크기 조절하기

구글 블로그에 사이즈가 큰 이미지를 첨부하면 본문 사이즈를 넘어설 수가 있다. 이것을 매번 글 쓸 때마다 이미지 하나하나 사이즈를 줄이지 않고 자동으로 본문의 너비에 맞게 줄이는 방법을 찾아 봤다.

구글 블로그 테마 설정에서 css 부분에 아래 내용을 삽입하면 된다.

.post-body img {
  max-width: 97%;
  max-height: auto;
  box-shadow: none;
  border: none;
 }


97%은 그냥 내가 조금 조절한 것이고 100%나 99%나 다 관계 없다.

희한한 특수문자

일단 스크랩한다.

ส็็็็็็็็็็็็็็็็็็็

ส้้้้้้้้้้้้้

2020년 6월 2일 화요일

윈도 10 무료 다운로드 및 무료 정품 인증

어쩌다가 보니 윈도 10을 무료로 설치하고 정품 인증까지 받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준비물은 8기가 이상의 USB나 DVD이다. 요새 대부분은 USB를 쓸 테니 USB를 이용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우선 링크에 가서 ‘지금 도구 다운로드’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MediaCreationTool2004.exe라는 파일이 다운로드 되고 이 파일을 실행하면 USB에 윈도 10이 설치될 것이다.



과정은 그냥 다음, 다음 누르면 되는데 USB에 윈도 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를 골라야 한다.


이 과정이 다 끝나면 부팅용 윈도 10 USB가 완성된 것이다. 그 다음 윈도 10을 설치하고 싶은 컴퓨터에 USB로 먼저 부팅되게 설정하고 나서 윈도 10을 설치한다.

이제 정품 인증하는 방법이다.

윈도 시작버튼 바로 오른쪽에 돋보기 아이콘을 누르고 바로 ‘winver’ 치고 엔터.


그러면 내 컴퓨터의 윈도 10 버전 종류를 알 수가 있다. 위 이미지에서는 윈도 10 Pro 버전이다.

그 다음 아래의 링크에 가면 각 운영체제 버전에 맞는 KMS 클라이언트 설정 키가 나와 있다. 제목대로 반기 채널 버전이기 때문에 반기(6개월) 동안만 정품 인증 효과가 있는데, 6개월이 지나서 정품 인증이 풀리면 다시 또 똑같은 방법으로 인증하면 된다. 6개월에 한 번쯤이야.

어쨌든 내 컴퓨터의 운영체제 버전에 맞는 라이센스 키를 메모해 놓은 다음,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된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의 3가지 명령어를 하나씩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고 엔터쳐서 하나씩 실행하면 된다. 명령어 하나 엔터 치면 몇 초 후에 확인창이 뜨니까 각 명령어를 시간 간격을 두고 실행해야 한다.

slmgr /ipk W269N-WFGWX-YVC9B-4J6C9-T83GX (내라이센스키)

slmgr /skms kms8.msguides.com

slmgr /ato

다 하고 나서 아래 명령어를 쳐 보면 정품 인증이 잘 되었는지, 또 언제까지 유효한지 알 수 있을 것이다.

slmgr -x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