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6월 29일 목요일
물을 많이 먹으면..
.. 물을 많이 먹으면 몸의 지방을 분해하고 노폐물을 없애 주고 피부가 좋아지고 노화가 늦게 오고 어쩌고저쩌고 등의 장점을 서로 입을 모아 얘기하지만 그들이 간과한 치명적인 문제가 있으니, 그건 바로 화장실을 자주 들락날락해야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어떡해야 하나 고민이다.
2006년 6월 14일 수요일
2006년 6월 8일 목요일
꽃을 꺾지 마세요
한 일주일 전 우리 아파트 외곽길 꽃밭에 작은 노란 팻말이 붙어 있는 것을 보았다. ‘꽃을 꺽지 맙시다’라고 써 있었다. ‘꺽’. 팻말이 2-3미터 간격으로 쫙 있는데 죄다 ‘꺽’이었다. 뭐 당연한 거지. 일괄적으로 프린트해서 코팅해서 붙인 거니까. 아무튼 왠지 아파트 망신 같기도 하고 동네 애들이 보기에 ‘꺽’이 맞는 걸로 생각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나도 죄다 그렇게 써 있으니 내가 잘못 생각한 건가 헷갈렸다) 그날 저녁 아파트 관리실에 가서 팻말이 잘못됐다고 얘기했다. 실컷 떠들고 나니 “아, 쌍기역이 아니라 그냥 기역이란 말씀이죠?” 하기에 쩝, 쌍기역이라고! 했다.
언제 고칠까 궁금했는데 어젯밤에 보니까 드디어 쌍기역으로 되어 있었다. 혼자 흐뭇해하려는 찰나 자세히 보니 팻말을 교체한 것이 아니고 얄팍하게 펜으로 ‘ㄱ’에 짝대기 하나 그어서 ‘ㄲ’으로 바꿔 놓은 거였다. 음, 절약정신인가 했더니 다 고친 게 아니라 ‘꺽’ 그대로인 팻말도 있고 그런 것이다. 아무래도 아파트 주민 누군가가 고쳐 놓은 게 아닐까 하는데 언제 교체하려나. 그냥 내가 마저 짝대기 그을까.
언제 고칠까 궁금했는데 어젯밤에 보니까 드디어 쌍기역으로 되어 있었다. 혼자 흐뭇해하려는 찰나 자세히 보니 팻말을 교체한 것이 아니고 얄팍하게 펜으로 ‘ㄱ’에 짝대기 하나 그어서 ‘ㄲ’으로 바꿔 놓은 거였다. 음, 절약정신인가 했더니 다 고친 게 아니라 ‘꺽’ 그대로인 팻말도 있고 그런 것이다. 아무래도 아파트 주민 누군가가 고쳐 놓은 게 아닐까 하는데 언제 교체하려나. 그냥 내가 마저 짝대기 그을까.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