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11월 30일 화요일

‘님하’와 ‘즐!’

‘님하’와 ‘즐!’, 소위 말하는 초딩적 표현이다. 예전부터 “즐통, 즐겜, 즐팅하세요!” 이런 말이 있었지만 그때는 즐거운 통신, 즐거운 게임, 즐거운 채팅을 하라는 뜻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즐!’ 이러면 꺼지셈!, 닥치셈! 이런 뜻이다. ‘반사!’와도 일맥상통한다.

..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 토기인 빗살무늬토기의 한문 표기는 즐문토기(櫛文土器)이다. ‘즐’은 빗살, ‘문’은 무늬인 셈이다. 빗살무늬는 이런 무늬이다. 빗장이라고 있지 않은가. 빗장 수비, 빗장을 걸고 막는다, 뭐 그런 것. 그러므로 ‘즐!’이라는 것은 “꺼지셈! 귀를 막고 (빗장을 걸고) 니 말 안 들리셈!”이라는 뜻으로, 즐문토기에서 어원이 유래한 것이 아닌가 싶다.

‘님아’, ‘님하’ 이런 말도 자주 쓰는데 ‘님아’는 제외하고 ‘님하’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용비어천가를 보면 ‘님금하, 아르쇼서..’라는 말이 있고, 정읍사(井邑詞)에는 ‘달하, 노피곰 도드샤..’라는 말이 있다. 여기에서 ‘-하’는 높임호격조사다. 님금, 달, 님 등의 단어 자체에 높임의 의미가 있어서 ‘-하’를 붙이는 것이다. 즉 ‘님아’는 틀리지만 ‘님하’는 맞는 표현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즐!’과 ‘님하’는 단순한 초딩적 표현이 아니라 고도의 학술적 표현이 아닐까 조심스레 추측해 본다. (`o')

2004년 11월 21일 일요일

퀴즈 대한민국

일요일 오전에 하는 ‘퀴즈 대한민국’이라는 TV 프로그램이 있다. 난 원래 이런 퀴즈 프로그램 보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냥 주말에 가족과 앉아서 과일 먹으며 구경하면서 어차피 이미 알고 있던 지식이 나오면 맞히는 거고, 모르는 문제가 나오면 그냥 그때만 ‘아, 그렇구나.’ 이러고 땡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며칠만 지나 버려도 무슨 문제가 나왔었는지 문제도 기억나지 않는다.

오늘 국회의원 보좌관 26살 신 모 씨가 나와서 마지막 단계까지 갔는데 와, 역시 잘하는구나. 세상엔 왜 이리 고수가 많지. 엄니 소원 중 하나가 내가 퀴즈 프로그램에 한 번 나가 보는 건데 언제쯤 쫄지 않고 나갈 수 있을까. 나갔다가 바로 탈락하면 어쩌나.

2004년 11월 14일 일요일

휴대전화의 법칙

A와 B가 즐겁게 대화를 나누며 길을 걷고 있는데 갑자기 A의 휴대전화가 울린다. A의 통화 시간이 대략 1분 54초를 넘어가기 시작하면 B는 자기도 모르게 자신의 휴대전화를 꺼내서 폴더를 열고 만지작거린다. 그러다가 B도 아무에게나 전화를 건다.

2004년 11월 8일 월요일

구봉숙 우유


http://news.stoo.com/news/html/000/188/316.html

 왼쪽부터 김구라, 노숙자, 황봉알.